117 – make 규칙 1: 암시적 규칙

make 파일을 작성할 때는 컴파일에 필요한 각 처리 단계와 의존성을 분명히 지정해주었다. 이와 같이 make가 해야 할 일을 분명히 지정하는 것을 명시적 규칙(explicit rules)이라고 한다. 이와 반대로, make 내에 미리 정의된 규칙을 이용해 make 파일을 단순화시키는 규칙을 암시적 규칙(inference rules)이라고 한다.

이를 보여주기 위해서 전에 작성하던 make 파일을 상당히 줄여서 예시로 보여주겠다.

20180116_234757.png

소스 파일에서 오브젝트 파일로 컴파일하도록 하는 단계를 빼고 그냥 바로 test를 오브젝트로 만들어서 빌드하도록 하였다. 전에 글들의 코드를 보고 비교하면 상당히 단축시킨 것을 볼 수 있다. 이 코드는 실행하면 그대로 컴파일 된다. 그 결과가 아래의 화면이다.

대상이 되는 test를 생성하기 위해 make는 의존하는 파일들을 살필 것이다. 그러나 대상이 의존하는 test1.o test2.o test3.o 이 세 파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make는 다시 저 파일들의 대상으로 있는 곳을 찾으려 한다. 이때, 찾지 못할 경우에는 오류를 내고 중단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암시적 규칙에 따라 오브젝트 파일을 gcc가 생성할 수 있는 것을 알기 때문에, test1.o test2.o test3.o 파일을 생상하기 위해 의존하는 파일을 스스로 찾고 컴파일러 호출까지 알아서 수행한다. 이때, 실행 결과에 찍힌 규칙을 보면 알겠지만 gcc를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cc 컴파일러를 호출하였다.

이 과정을 보고 싶다면 make -p 라고 해서 -p 옵션을 통해서 볼 수 있다.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쭉 나온다. 아래 화면에 스크롤 바를 주목해라. 내용 장난 아니게 많다. 암시적 규칙으로 어떤 것들이 불러지는지 알고 싶다면 계속 스크롤을 내려서 살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근데 당장은 이해 못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