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에서 Android Studio 전체를 외장 드라이브에 설치하는 방법

지금 쓰고 있는 m2 맥북 에어는 용량이 기본 용량입니다. 근데 이걸로 개발을 하려고 하니 확실하게 부족한 게 사실입니다. ㅠㅠ 소스코드나 그런 것들이야 외장 ssd에 있어도 되는데 이젠 프로그램까지 그냥 싹 다 새로 설치하면서 외장 ssd쪽으로 이전시키려고 합니다.

맥북의 저장공간이 부족하다면, Android Studio와 관련된 모든 파일들을 외장 드라이브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처음부터 외장 드라이브에 깔끔하게 설치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가능한한 많은 사람들이 보고 따라할 수 있는 수준으로 좀 폭넓게 적어봅니다.

설치할 수 있는 구성요소

  • Android Studio 앱 자체
  • Android SDK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 AVD (Android Virtual Device) –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 Gradle 캐시 및 빌드 도구
  • 프로젝트 파일들

사전 준비사항

  • USB 3.0 이상 또는 Thunderbolt 포트를 사용하는 외장 드라이브
  • SSD 타입 외장 드라이브 권장 (성능상 이유)
  • 충분한 저장공간 (최소 20GB 이상 권장)

1단계: 외장 드라이브 폴더 구조 생성

먼저 외장 드라이브에 체계적인 폴더 구조를 만들어줍니다:

bash

# 외장 드라이브 확인 (보통 /Volumes/드라이브명)
ls /Volumes/

# Android 개발 전용 폴더 생성
mkdir -p /Volumes/YourDriveName/AndroidDev/{Studio,SDK,AVD,Projects,Gradle}

2단계: Android Studio 설치

  1. Android Studio 다운로드: 공식 사이트에서 dmg 파일 다운로드
  2. 외장 드라이브에 설치:

bash

# dmg 마운트 후, 외장 드라이브로 복사
cp -R "/Volumes/Android Studio/Android Studio.app" "/Volumes/YourDriveName/AndroidDev/Studio/"

3단계: 환경 변수 설정

~/.zshrc 파일을 편집하여 환경변수를 설정합니다:

bash

# 터미널에서 편집
nano ~/.zshrc

# 아래 내용 추가 (YourDriveName을 실제 드라이브 이름으로 변경)
export ANDROID_HOME="/Volumes/YourDriveName/AndroidDev/SDK"
export ANDROID_SDK_HOME="/Volumes/YourDriveName/AndroidDev"
export ANDROID_AVD_HOME="/Volumes/YourDriveName/AndroidDev/AVD"
export GRADLE_USER_HOME="/Volumes/YourDriveName/AndroidDev/Gradle"
export PATH=$PATH:$ANDROID_HOME/tools:$ANDROID_HOME/platform-tools

# 설정 적용
source ~/.zshrc

4단계: Android Studio 첫 실행 및 설정

Android Studio 실행

bash

open "/Volumes/YourDriveName/AndroidDev/Studio/Android Studio.app"

초기 설정 시 주의사항

  • Custom Installation 선택
  • SDK 설치 경로: /Volumes/YourDriveName/AndroidDev/SDK로 지정
  • 모든 경로를 외장 드라이브로 설정

5단계: Android Studio 내부 설정 확인

SDK 경로 확인

  1. PreferencesAppearance & BehaviorSystem SettingsAndroid SDK
  2. SDK 경로가 외장 드라이브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Gradle 경로 설정

  1. PreferencesBuild, Execution, DeploymentBuild ToolsGradle
  2. General Settings에서 “Gradle user home”을 외장 드라이브 경로로 설정

6단계: 기존 데이터 이동 (필요시)

기존에 Android Studio를 사용했다면 데이터를 이동해야 합니다:

bash

# AVD 폴더 수동 생성
mkdir -p /Volumes/YourDriveName/AndroidDev/AVD

# 기존 AVD 이동 (있다면)
if [ -d ~/.android/avd ]; then
    mv ~/.android/avd/* /Volumes/YourDriveName/AndroidDev/AVD/
    rmdir ~/.android/avd
    ln -s /Volumes/YourDriveName/AndroidDev/AVD ~/.android/avd
fi

# .android 폴더 이동
if [ -d ~/.android ]; then
    cp -r ~/.android/* /Volumes/YourDriveName/AndroidDev/.android/
    rm -rf ~/.android
    ln -s /Volumes/YourDriveName/AndroidDev/.android ~/.android
fi

7단계: 설치 완료 후 테스트

환경변수 확인

bash

echo $ANDROID_HOME
echo $ANDROID_SDK_HOME  
echo $ANDROID_AVD_HOME
echo $GRADLE_USER_HOME

AVD 생성 테스트

Android Studio에서 새로운 가상 디바이스를 만들어 외장 드라이브에 제대로 생성되는지 확인

실제 폴더 확인

bash

ls -la /Volumes/YourDriveName/AndroidDev/AVD
ls -la /Volumes/YourDriveName/AndroidDev/SDK
ls -la /Volumes/YourDriveName/AndroidDev/Gradle

편의 기능: 터미널 별명 설정

매번 긴 경로로 실행하기 번거롭다면 별명을 만드세요:

bash

# ~/.zshrc에 추가
alias androidstudio='open "/Volumes/YourDriveName/AndroidDev/Studio/Android Studio.app"'

# 적용 후 터미널에서 간단히 실행
androidstudio

주의사항 및 팁

성능 관련

  • 외장 드라이브는 내장 SSD보다 느려 빌드 시간이 길어질 수 있음
  • SSD 타입 외장 드라이브 사용 권장
  • USB 3.0 이상 포트 사용 필수

안정성 관련

  • 외장 드라이브가 연결되지 않으면 Android Studio 실행 불가
  • 중요한 프로젝트는 별도 백업 필수
  • 드라이브가 항상 같은 이름으로 마운트되도록 설정

문제 해결

  • 환경변수 변경 후 반드시 Android Studio 재시작
  • 경로에 공백이 있으면 따옴표로 감싸기
  • 권한 문제 발생 시 sudo 명령어 사용 고려

예상 용량 절약 효과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용량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Android Studio: 약 1-2GB
  • Android SDK: 약 5-15GB (설치한 API 레벨에 따라)
  • AVD: 가상 디바이스당 2-8GB
  • Gradle 캐시: 약 1-5GB (프로젝트에 따라)

총 절약 가능 용량: 최소 10GB ~ 최대 30GB 이상

결론

외장 드라이브에 Android Studio 환경을 구축하면 맥북의 저장공간 부족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초기 설정이 다소 번거롭지만, 한 번 설정해두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성능 저하가 우려된다면 고속 SSD 외장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것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이 가이드가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로 후기를 남겨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질문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