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트는 제가 SD카드에 이미 라즈베리 파이용 OS를 설치한 뒤에 올리는 포스트입니다)
집에서 라즈베리 파이를 셋팅하고 사진찍은 겁니다. 복잡해 보이죠? 복잡합니다. ;ㅅ;
작은 장치에 여러모로 주렁주렁 달리다 보니 복잡도가 장난이 아니게 되었습니다. 키보드 + 마우스 통합으로 된 무선 리시버를 꼽으면 그나마 복잡한 게 사라질지도 모르겠군요. (아직은 그렇게까지는 안쓰는 중이라..)
라즈베리 파이의 다른 건 연결하고 하는데 둘째치더라도 전원은 연결만 하면 바로 실행되기 때문에 전원선은 제일 마지막에 연결해 주세요. ㅇㅅㅇ
그렇게 실행하고 모니터 화면을 보시면 뭔가 글씨들이 주륵주륵 내려갑니다. Fail 안뜨는지만 확인해 주세요. 설정값이 비어있어서 확인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그것도 나중에는 얼마든지 변경됩니다.
그리고 이 화면이 라즈베리 파이의 OS가 최초 실행시 뜨는 화면입니다. 배경이 블루스크린이라서 보기 싫으실 분들도 있겠지만 설정해 주세요. ㅇㅅㅇ
여기에 있는 각 메뉴들이 어떤 메뉴들인지를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 info: 지금 보고 있는 툴이 뭘 위한 건지 적혀있습니다. 사실 이 툴은 root 권한을 취득하기 위한 sudo 명령으로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시스템 중요 설정에 대하여 간단하게 맞출 수 있도록 보여주는 부분이죠. 이외에 기타 세세한 부분은 그냥 각자의 config 파일을 열어서 고치는 수밖에 없습니다.
- expand_rootfs: root 파티션을 늘려줍니다. SD카드에 라즈베리 파이용 리눅스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2GB의 파티션을 잡아서 처리합니다. (그 이상의 공간은 그냥 자유 영역으로 남겨놓습니다) 이 부분을 늘려서 자유롭게 SD카드 용량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므로 해주시면 됩니다. 자동으로 적용 다되고 나면 재시작시 파티션 적용해준다는 메세지가 나오니 적용 후 전원 뽑다가 다시 켜주세요.
- overscan: 그냥 사용할 때는 모르지만, 동영상 재생 등의 경우에 볼 수 있다. (XBMC 설정시 꼭 나옴) frame buffer depth 처리에 따라 검은 블랙 프레임 라벨이 나오는 경우가 생기는데 그럴 땐 저 설정을 그냥 Disable로 설정해 준다. (평상시엔 거의 볼 일 없다)
- configure_keyboard: 키보드 레이아웃을 변경한다. 사실 키보드 레이아웃이라고는 하지만 언어별 레이아웃이 아닌 디바이스별 키보드 레이아웃이므로 그냥 써도 무관할 것이다.
- change_pass: 기본 유저인 pi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옵션이다.
- change_locale: 시스템 로케일 설정을 하는 부분이다. 시스템 지원 언어를 지정하는 곳이니 다국어 지원을 위해서 필요하면 설정하는 것이 좋다. (추가 로케일 설치 시 인터넷 연결 필요) 웹사이트 돌아다니는데 알 수 없는 네모로만 된 글씨를 보기 싫어서 규링은 그냥 죄다 추가했다. ㅇㅅㅇ;;;
- change_timezone: 시간대를 설정하는 옵션이다. 라즈베리 파이에는 내장 시계가 없다. (메인보드 내장시계의 원리를 아는 분들은 이해 될것이다) 시간은 인터넷에서 받아온 시간을 기점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받아오는 컴퓨터의 현재 시간대를 아는 것은 중요하다. 반드시 맞추자.
- memory_split: 라즈베리 파이 B모델 (512MB 램 장착)형은 CPU, GPU가 가지는 램 영역에 대하여 공간을 따로 쓴다. 그러나 이 영역을 조정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이 설정이다. 어느정도 고급 설정이므로 검색을 해보고 작업하자.
- overclock: 라즈베리 파이로 오버클럭할 때 쓰는 것이다. 이걸로 오버클럭 하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그래도 해보고 싶은 분들은 해봐도 된다. ㅡㅅㅡ
- ssh: 라즈베리 파이를 외부에서 ssh 연결로 접속 가능하게 할 것인지 설정하는 것이다. ssh 기본포트가 열리므로 공유기 설정을 좀 해주면 접속이 가능해진다. (암호 설정을 한 다음에 하자)
- boot_behaviour: 초기 부팅시 바로 GUI 데스크탑 화면을 보여줄 것인지 말것인지를 정하는 화면이다. 설정과 해제밖에 없으니 그냥 선택해서 설정하면 된다. 규링은 그냥 바로 GUI로 고~ (이런 건 얼마든지 바꿀 수 있잖아)
- update: 라즈베리 파이의 리눅스를 업데이트한다.
이정도만 알고 설정해도 설정이 쉽다. ㅇㅅㅇ (사실 이 설정이 거의 전부지만)
이 설정을 마치고 Finish를 하면 부팅이 완료된다. (esc로도 나갈 수 있긴 하다만…)
데스크탑 환경으로 설정했기 때문에 규링은 바로 GUI 환경이 떴습니다. ㅇㅅㅇ/
이제부터 여러모로 쓰고싶은 예기들이 많아지는 시간~ ㅇㅂ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