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h! 반면교사 시즌 2] 보안이랍시고 공식 개발문서 사이트 접근을 막는 전산팀….

뭔 미친 제목인가 싶죠? 일본와서 겪은 제일 골때리는 것 중 하나입니다 진짜…. 게다가 시즌 2때에는 특정 인간 하나만을 상대하지 않습니다. 조직 단위로 미친 걸 지금 일본와서 너무 많이 봐서 그런가…. 아마 시즌 2에서 까는 건 개개인으로 안끝날껍니다.

이게 일본 회사 특유의 문제점인지 지금 있는 회사 특유의 문제점인지는 모르겠지만… 진심 이런 미친 상황이 다 있냐고 물을 수 있지만, 사실입니다.

이걸 왜 헷갈려 하는지를 모를 수 있으니 상황부터 설명하겠습니다.

회사에서 개발 관련 자료 뒤지다 보면 가끔 코드나 라이브러리 관련해서 문제 터진 거 검색하는 경우가 다들 당연히 있습니다.

그리고 윈도우 개발에 관해서는 사실 개발 분야 관계 없이 윈도우 개발 관련 지식이다 싶으면 찾을 수 있으면 어디서든 이용해서 쓰던 힌트가 되던 할 수 있죠.

근데 하필 제가 정보 확인하려고 했던 곳이 모 게임 엔진 개발 포럼이었습니다. 개발 포럼이니깐 신경도 안썼는데, 해당 사이트를 접속이 안되네요.

그런데 구글 검색하다 보면 검색 결과를 일부 노출해서 보여주는 거 보니깐 그쪽 개발문서나 코드 관련한 코멘트로 뭔가가 있나 하는 필이 와서 사이트 접속을 하는데….

막네요. 회사에서.

그래서 전산팀 불러서 이거 뭐냐 고 하니 저더러 하는 소리가

“회사에서 왜 게임 사이트 접속하시려 했냐?”

……

더 이야기 하고 나니, 이 전산팀은 개발 포럼이라는 사이트에 대한 걸 전혀 모르는 놈들입니다.

개발 관련된건 공식 문서랑 책이면 다 되는 거 아니냐는 희대의 개소리는 또 덤입니다.

…….

이런 전산팀은 100% 뭐 사고 터져도 문제 해결 못하는 놈들입니다. 하루빨리 잘라야 합니다.

근데 자를 생각이 없습니다. 오히려 저한테 지랄하니깐요.

“이 XXX는 윈도우에 OOO api 이용 같이 하는 거니깐 그냥 일반 프로그램 개발이던 게임 엔진 개발이던 다 쓰는 녀석이다. 그래서 그거 기준으로 검색하다가 나오는 정보 확인하는데 대체 뭐가 게임 관련이 되는 거냐. 이건 개발 한번이라도 제대로 해봤음 당연히 접근 가능한 내용 아니냐. 대체 뭐가 문제가 된다는 건지 나한테 반박해봐라.”

라고 따지면 일본인들 특유의 일 커지니깐 무마하려는 태도까지 나옵니다. 네. 이러면 저만 ㅈ되는 겁니다.

근데 개발을 했었다는 부장이랑 주임이라는 건 제 의견에 전혀 공감이란 걸 못합니다. 오히려 경력직으로 저보다 먼저 들어온 중국인이 제 이야기를 알아듣고는 100% 공감합니다. 이 스토리도 상당히 다이나믹하니깐 기대하시길…

[Oh! 반면교사 시즌 2] 회사 자원이 제대로 있어야 하는 걸 모르는 전산관리 담당자

내가 이 시리즈를 다시 쓸 일은 없을 거라고 생각했다. 왜냐, 오씨의 그 쓰레기짓 같은 일을 설마 더 겪겠어 했거든….

근데 다른 형태로도 겪는다. 개발 아닌 곳에서도 겪는다… 그래서 시즌 2를 적기 시작한다. 진심 최악이다.

이번에는 진짜 회사 it 자원에 대한 이야기를 좀 하려고 한다.

회사에 it 자원은 우리가 개발하는 데 필요한 자원이다. 그러니깐 꼭 있어야 하고, 꼭 잘 되어야 하는 자원이다. 그건 당연히 일의 효율과도 직관된다. 반대로 이런 자원이 제대로 되지 않은 곳에서는 될 일도 안된다.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똥컴 주는 회사랑 인터넷 느린 회사다. 이건 말도 안되는 거다. 미친거다 진짜로….

컴 느린 거 주는 건 진짜 컴에 대한 개념이 없는 거다. 사무직들 쓰는 컴 주면서 개발하라고 하는 거 진짜… ㅎ 그냥 할 말 없다. 개발용 컴퓨터를 따로 주면서 사무용으로 컴퓨터를 나눠 쓰면 뭐 다행인데…. 그건 나 포함 일부 사람들 뿐이었다. ㅡㅅㅡ

그리고 네트워크 느린거…. 느리다 못해 도중에 끊기는 것도 진짜 미친 거다. 요즘 인터넷 안되는 곳에서 일 어떻게 하냐. 협업 툴도 인터넷 되어야지 되는 세상에! 네트워크 끊기는 것도 절대로 있을 수 없는 일인데 그걸 별 수 없다면서 여기는 놈들이 진짜….

그러면서 어이없는 네트워크 점검한답시고 공지 띄우고 하는꼴 보면서 드는 생각이… 그냥 미쳤다는 생각밖에 없네요.

지금 여긴 네트워크를 그냥 첨부터 싹 다 뜯어내고 다 갈아엎어야 하는 상황인데, ap도 그 낡아빠진 거 다 갈아 버리고 다시 새로 사서 하고, 망 중계기도 100mbps 레벨인 거 아는데 이거 kddi 불러서 죄신껄로 바꾸고 회선망도 다 갈아서 유선으로던 무선으로던 엄청 여유로운 걸로 바꾸면 네트워크 안끊긴다 그런 소리 몇번을 해도 개소리 취급이나 하고…

ㅎ… 그냥 늬들 맘대로 해라. 난 나갈란다.

시놀로지 NAS는 확실히 7.2 버전 이후로 뭔가 많이 바뀐듯….

진짜 이게 신기하다 싶을 정도로 뭔가 많이 바뀌었다….

그냥 도커가 컨테이너 매니저로 바뀌고 뭐 그런 느낌이 아니라….

미묘하게 뭔가 업글이 많이 되어있는데, 그게 크게 와닿진 않는데..

뭔가 바뀌어있는듯.

그걸 좀 나중에 알면 좋겠다. ㅠㅠ

개인이 하는 수준의 마스토돈 인스턴스를 믿을 수 있냐고 물으면…

전 미안하지만 No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마스토돈같은 구조에서는 인스턴스 날아가면 그만입니다.

마스토돈이나 그에 관한 비슷한 분산 소셜들이 많이 만들어졌지만 지금 제대로 안되고 했던 이유가 바로 인스턴스에 가입해서 활동하는 도중에 인스턴스가 없어지고 해서 모든 자료 날아가고 하는 것들에 대한 그 무언가가 없습니다. 이게 중앙형 소셜 네트워크는 그냥 그 서비스 하나에서 전체적으로 싹 다 처리하던 걸 분산해서 하니깐… 활동하는 인스턴스가 없어지면 다른 인스턴스에서 새로 시작해야 합니다. 그러면 그 사람에 대한 대화 환경, 대화 창구가 그냥 사라지게 됩니다.

지금까지 만들어지고 없어지고 하는 지금 수많은 인스턴스들은 거의 대부분 개인이 만들어서 시작하고, 그게 사이즈가 커져서 여러 문제 터져서 감당이 안되고 해서 없어진 것들도 정말 많습니다. 그거 보면 옛날에 몇몇 개인들이 만든 사이트에 커뮤니티 활성화 되다가 사이트 없어지고 바이바이 하던 거 생각나더군요.

그래서 전 분산형 소셜 네트워크도 서비스 제공 회사에서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인스턴스 집합이 아니면 믿기 힘들다고 봅니다. 분산형이지만 실제로는 중앙에서 어느정도 매니지되고, 그 분산 그룹끼리 연결할 수 있는 고유의 프로토콜화가 잘 된 것이 아니면 어려운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트히 트위터의 순기능을 많이 본 사람들이 많아서… 수많은 팔로잉, 팔로워를 가진 분들 통해서도 정말 많은 연결과 확장이 발생해서 얻은 이득을 생각하면… 분산 소셜이 보여주는 기능에 대해서는 커뮤니케이션 기능에 한해서는 한정적인 그룹화만 보여주고 끝날 수도 있고 해서 참 골때립니다.

그래서 마스토돈 베이스의 기술을 가지고 서비스화가 된 소셜이 있다면 그 서비스가 유명해질 것이지, 마스토돈 자체가 일반 사용자를 기준으로 유명해지는 그런 사태는 오지 않을 듯 하네요. 일본인들 한정으로 유입이 많은 미스키의 경우처럼 인스턴스 자체에 공개화가 되어있어서 그것까지 연결되어 죄다 미스키라고 하는 그런 기능이나 블루스카이같이 블루스카이 하나로 다 묶여서 그 안에 블루스카이에서 제공하는 인스턴스들 안에서 돌아서 중앙화 처럼 보일 정도면 모를까…

근데 지금 일론 머스크 개새끼에 의한 트위터 대체로 마스토돈이 언급되는 거 땜에… 전 마스토돈의 인스턴스를 지금처럼 개개인이 만든 곳에 여기로 오세요 그러는 수준으로는 그냥 그분들만의 공간으로 있거나, 아니면 관리 못해서 터지거나 그렇게 되고 끝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제 잡소리지만, 진짜 인스턴스 관리에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로의 기능이 될지, 그냥 로컬 커뮤니티의 난립이 될지 모르겠군요.

블로그 이전작업중입니다.

규링컴퍼니의 워드프레스 닷컴 블로그를 이전중입니다.

아직 글 작성에 대해서는 여러모로 진행중인데… 과거 글은 일단 다 옮겨왔습니다. ㅠㅠ

과거 글의 링크도 다 고쳐야 해서 할 게 많은데…

잘 해놔야죠. ㅠㅠ

이전 완료되면 기존에 워드프레스 닷컴쪽은 글 싹 내릴 예정입니다.

it 회사 != 기술력 있는 회사

요즘 여기저기서 자꾸 it 기술을 도입하고 그를 응용한 기술을 가지거나 가지려고 하는 회사들을 많이 본다. 그 중에서도 원래 기술을 제대로 갖고 있는데 it 관련 기술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많은 어색함이 있는 회사들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 회사들은 과연 어떤 생각으로 이런 이용을 하고 있을까 하는 생각을 가지게 하는 것들을 상당히 많이 보게 된다.

it 기술을 잘 이용할 수 있는 거라고 해서 기술력 있는 회사냐고 물어보면 솔직히 그건 아니라고 본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it 기술 관련된 걸 옛날에는 잘 이용하는 형태였을지 몰라도 지금은 그저 그냥 옛날 기술 갖고 그냥 발버둥치는 수준밖에 안될수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근데 it 기술, it 개발자 있으면 뭔가 있어보이는 듯 하게 꾸려져서 나오는 거 보면… 그냥 한숨밖에 안나온다.

그리고 지금도 그런 회사 땜에 참 피곤하다. (블로그에 글 쓸 정도로 피곤하다. 요즘 블로그에 근황이고 뭐고 업뎃도 못했는데 진짜…ㅠㅠ)

Error: CocoaPods’s specs repository is too out-of-date to satisfy dependencies. (iOS)

아니, 플러터면서 왜 이런 오류가..!

하고 생각할 수 있는 오류를 가져와봤습니다. 협업하면서 한번씩은 겪을 문제인데, 사실 이걸 모르는 분들은 왜 생기는지 몰라할 수 있어서…..

빌드하다가 터지는 녀석…

이런 일이 생기는 건 간단하다. flutter pub이 내가 작업하던 것과 다른 사람이 작업하던 녀석이 충돌해서 그렇다. 내가 개발하다가 넘겨준 부분에 pub 라이브러리를 작업하는 곳에서 새로 업뎃하였다. 그러면서 여러모로 바꿔서 진행한 것도, 새로 추가된 것도 있고..

이러다보니 여러모로 추가된 녀석과 내가 먼저 이용해서 빌드에 이용한 녀석하고 충돌한 거다.

아, 당연하지만, pubspecs.yaml 파일이 충돌한 게 아니다. 이 파일의 내용을 가지고 ios 빌드를 진행해야 하는 CocoaPods가 새로 업뎃해서 받아오고 해야 하는데 그걸 그냥 더 추가하고 넘기는 작업으로만 하다보니 그런 것이다. CocoaPods를 써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사실 방법 자체는 여러모로 합리적이다. 기존에 이용하는 것들은 이미 .lock 파일로 만들어서 고정해 두고 빠른 작업을 진행하도록 해놓는 것으로 빌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니깐..

근데 뭐, 내가 쓰다가 이렇게 오류 나면 오류 나는 것이니 풀어줍시다.

내 작업에서 보이면 그냥 오류일뿐…

그럼 어떻게 하는지 하나하나 따라하면 됩니다. 근데 저기서 알려주는 pod repo update는 쳐봤자 오류납니다.

ios 폴더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이 일의 원흉인 Podfile.lock 파일을 지워줍니다.

그리고는 위와 같이 pod install –repo-update 를 실행해서 repo를 업데이트 해줍니다. 그러면 pubspecs.yaml에 지정한 녀석들을 받아다가 업뎃을 쫙 진행해줍니다.

그리고 나서 다시 플러터 프로젝트의 루트로 올라가서 flutter clean 명령으로 현재 프로젝트의 빌드 관련 정보로 생성한 녀석들을 싹 지워줍니다.

그러고 나서 다시 빌드를 진행하면 문제 없이 빌드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건 CocoaPods를 좀 이용해보고 하면 금방 해결할 수 있는데, 처음부터 flutter를 접하면서 여러명과 작업하고 그러다 보면 그냥 보이는 오류여서 좀 정리해봤습니다.

간만에 쓴 블로그가 이런 내용인데 도움 좀 되었으면 좋겠군요. ;ㅅ;

요즘 너무 바빠서….

플러터로 앱을 하나 내봤습니다.

플러터로 앱을 하나 내봤습니다.

외주 앱이라서 제 이름 들어가봤자 얼마 되지도 않아서 홍보는 안합니다.. (좀 안좋은 기억이 있는 개발이라..)

뭐, 개발할 때의 좀 개발 외적으로 안좋은 거랑은 별개로 플러터를 써보니 몇 가지 좋은 점도 있지만 몇 가지 X같은 점도 좀 있던데…

참 복잡합니다.

그래서 지금 플러터 관련해서도 일단 경험담을 몇 시리즈로 해서 좀 적어볼까란 생각도 하네요.

C도 지금 정리해야 하는데 회사 일이 바빠서 트위터도 거의 못하는 마당에…ㅠㅠ

그래도 이렇게 기록은 남겨놔야 제가 정신 차리고 할 때에 쓸 글들은 보이니…ㅠㅠ

역시 구형 썬더볼트 이더넷이 문제였다. ;ㅅ;

이전 글에서 의심하던 녀석…. 구형 썬더볼트 이더넷.

결국은 usb 포트의 이더넷으로 해서 유선랜을 사용하도록 교체했고….

그 자리가 지금은 이런 식으로 바뀌어있습니다.

mini dp -> DVI가 기존의 자리를 차지함. 나머지는 mini dp -> vga

맥의 한쪽은 지금 이런식으로 되어있는…

그리고 다른 편에는 흐드미가 붙어있습니다.

그래서 다시 모니터가 셋으로..! ㅠㅠ

해상도는 각각 다르지만, 그래도 역시 모니터는 3대는 기본으로 써줘야지…ㅠㅠ

모니터 셋이 붙었는데도 불구하고 뭐 그렇게 시퓨 사용량 막 많아지고 그러는 건 없고, 지금까지 뭐 작업 밀리고 그러는 것도 아직 발견되진 않았습니다.

역시 구형 썬더볼트 장치에 뭔가 문제가 있는 듯 합니다.

….이녀석 땜에 지금 쓰는 녀석도 느려터진 녀석인가를 고민하고 그랬는데…ㅠㅠ

아무리 좀 오래된 녀석이라고는 해도 i7 박힌 녀석인데… 현역 은퇴되고 할 날은 좀 더 있어야 할텐데 말이죠..

그래서 썬더볼트에 대해서 좀 제대로 알아보는 시간이 필요한 거 같습니다.

요즘 썬더볼트 장비들은 그런 거 좀 덜하려나….

구형 썬더볼트 이더넷 – 요즘 날 괴롭히던 녀석…ㅠㅠ

요즘 작업을 맥북으로 하고 있다. 지금 사용하는 맥북은 맥프레 2015년 레티나 모델이다. 이녀석에는 썬더볼트가 2 포트 있는데, 이녀석이 DP도 겸하기 때문에 하나는 모니터, 다른 하나는 이더넷을 연결해서 쓰고 있었다. 반대쪽에 흐드미에 또 모니터를 연결하고…

요즘 날 괴롭히던 녀석…

근데 이녀석이 참 여러모로 골아픈데…. 이녀석 땜에 시퓨 이용량이 장난아니게 많았다. ;ㅅ;

이걸 전력 꼽은 USB 허브에 USB로 연결하는 유선 이더넷으로 바꿨더니 시퓨 부하가 확 줄었다.

그래서 난 진짜 뭔가 싶었는데… 구형 썬더볼트 자체의 문제가 좀 있는 듯 하다.

전이중 방식의 썬더볼트 1인지, 반이중 방식의 썬더볼트2가 들어갔는지는 모르겠는데, 의외로 프로세스 사용량을 엄청 먹었다는 거에 좀 충격이었다. (근데 내 생각에는 반이중 방식의 2인 거 같기도 하다…) 게다가 지금 이 맥북은 인텔 내장 그래픽을 쓰는지라 더더욱 프로세스 사용에 있어서 민감하게 반응할 수 밖에 없다. ;ㅅ;

비행기 이륙소리의 원인도 저녀석..

이제 이 자리에 그냥 원래의 용도대로 모니터 하나 더 박아서 모니터를 3대 연결해보면.. 뭐가 원인인지 알 수 있으려나 좀 궁금해진다. ㅇㅅㅇ;;

p.s. 간만의 잡소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