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처음에 설치하고 나서 좀 여러모로 헷갈렸는데, 해당하는 내용이 좀 부실하게 되어있습니다. (배리어 프로젝트의 README.md에 나와있질 않아서요…ㅠㅠ)
설치 후에 실행하고 나면 별 거 없이 실행되겠지 싶을 겁니다. 그리고 내가 주로 쓰는 컴퓨터를 서버로 설정합니다. (서버로 설정한 컴퓨터의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용해서 클라이언트를 제어합니다.)
근데, 처음 설치 후에 서버로 설정하고 그냥 서버 설정에서 봐도 뭔가 더 할 게 있나 싶은데… 로그를 보면 다른 상황이죠. ㅠㅠ

갑자기 ssl 인증서를 쓸 수 없다고 합니다. ;ㅅ;
서버는 클라이언트를 자동으로 찾습니다. 그때에 연결을 승인해야 하는데, 그걸 ssl 인증으로 프로그램 내부에서 진행하는 건데, 그걸 위한 인증서가 없다는 것입니다. ;ㅅ; 이건 윈도우, 맥, 리눅스 어디 할 거 없이 서버로 처음 설치하고 실행했을 때에 저렇게 ssl이 없다고 합니다.
근데 아무 ssl 인증서나 되는 건 아닐 꺼 아냐! 해서 좀 찾아보니… 일단 깃헙에 이슈에 대한 쓰레가 있습니다. 좀 한참 밑으로 쭉 내려가면 명령어 쳐서 만들어라 하는 데 그 명령어가 이겁니다.
openssl req -x509 -nodes -days 365 -subj /CN=Barrier -newkey rsa:4096 -keyout Barrier.pem -out Barrier.pem
그래서 해당 디렉터리로 이동해서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전 윈도우에서 이용하는 wsl의 우분투를 이용해서 직접 만들었습니다. 윈도우 사용자 분들은 openssl 윈도우 설치 프로그램 이용하셔서 하시면 되고, 리눅스나 맥은 뭐… 이미 있을수도 있습니다. (자기가 모르는 사이에 패키지 설치하면서 깔렸을 수 있습니다.)
저렇게 만들고 나서 Barrier를 다시 실행하거나, 중지 후 시작을 다시 하면 로그 내용이 바뀌어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이제 다른 컴퓨터에서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면, 서버 화면에는 자기 컴퓨터 기준으로 어디에 배치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선택한 후에는 클라이언트에도 뭔가 뜨는데, 바로 ssl 인증내용을 보여주면서 이 클라이언트와 연결 승인할 것인지를 묻습니다. 승인하게 되면 바로 연결되어 제어할 수 있게 됩니다.
워낙 유명한 프로그램이라서 사용하는 내용은 간단하게 적힌 블로그 글들이 여럿 있는데, ssl fingerprint 설정에 대해서는 잘 안적어놔서 정리 좀 해봤습니다. 간만에 블로그 적는데 생각보다 글이 잘 안써지네요. ;ㅅ;
다시 잘 써서 C언어 글 완결지어야 되는데 말입니다. ;ㅅ;
barrier 써보려는데 자꾸 timeout라고 뜨네요
해결방안을 알수있을까요
timeout은 진짜로 연결 타임아웃일 가능성이 높군요. client쪽에 클릭하고 나면 서버 ip주소를 입력하는 곳에 서버 주소를 직접 입력하고, 서버와 포트 번호가 제대로 맞는지 확인해봐야 할 거 같습니다.
덕분에 ssl 설치 했어요 ㅎ
잘 해결되셔서 다행입니다.
설치하고 연결이 안되고 있는데 로그는 어디서 보나요? 서버 -맥, 클라이언트-윈도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