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anium 플랫폼

산업기능요원 할 당시 선배가 나한테 알려줬던 녀석이다. 그때 처음 등장하여 여러모로 사람들이 써보고 했던 시기였고, 그 선배도 독학하고 있었던 걸로 기억한다.

그리고 이젠 내가 하나 둘 개발할 때 가끔 쓰게 되었다. 왜냐면 이거만큼 편한 크로스 플랫폼 개발환경이 별로 없는 거 같다. 솔직히 말해서 폰갭의 경우에는 모바일 한정으로 아예 굳어버린 느낌이고, 앱스프레소? 맞나? 처음 나올때는 여기저기서 많이 들어봤는데 제대로 쓰이는 걸 그렇게 많이 보질 못한 거 같다. 게다가 요즘은 개발 플랫폼을 자체적으로 내놓게 되면 개발에 필요한 리소스도 별도로 만들어서 거래할 수 있도록 하여 개발자들이 자꾸 끼어들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런 환경 제공하는 것으로는 타이타늄이 상당히 많은 역할을 하고 있기도 하고…. (게임에서는 이걸로 한참 뜬게 유니티다. 유니티 에셋 만들어서 용돈 벌이처럼 은근 돈 좀 만지신 분들 있다. 2D를 공식으로 지원하기 이전에는 2D로 만들 수 있게 해주던 에셋 개발자는 돈 좀 많이 만진 거 같고…)

지금도 크로스 플랫폼을 쓰냐 마냐에 따라서 고민하는 사람들이 있냐고 물을 수 있기도 하겠지만… 아직은 있다. 워낙 네이티브에 적응된 사람들은 굳이 그런 생각 안하고 하기도 하는데… 크로스 플랫폼으로 개발하였을 때의 장점을 제대로 이용해 본 사람들은 자주 접해보고 하는 거 같으니…ㅇㅅㅇ;;

사실 플랫폼 상관없이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많이 쓰이는 것이 있었냐고 한다면 딱 꼬집는 것이 바로 어도비 에어(Adobe Air)다. 지금 여러분의 컴퓨터에서도 간간히 동작하는 중입니다. ㅇㅅㅇ;;; 그렇다 보니 크로스 플랫폼화 하는 것에 대해서는 개발자들이 그냥 묵묵히 있는대로 따라가 보는 것이 아닐까란 생각도 해보는중…

그래서 몇년동안 계속 지켜봤지만…. 이걸로는 시뮬레이터 못만들어서 그냥 보고 던져놓기 바빴던 게 사실이고…./먼산

PROD_arch11

타이타늄 아키텍쳐의 구조다. 이런 걸 보면 그냥 기본 응용 프로그램은 이런 걸로 개발해도 별 상관없는 수준까지 올라간 것인가란 생각이 참 여러모로 들게 되어서….

알아둬서 나쁠 건 없는 플랫폼이긴 하다. ㅇㅅㅇ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