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S, CLS에 대한 부가적 설명

CTS, CLS에 대한 설명을 하긴 했습니다만 이해가 잘 안가실 겁니다.(저도 잘 안갔습니다) 그래서 관계도를 올립니다.

CTS CLS 관계도

CLS는 개발자가 짜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어떤 것이던 간에 닷넷에서 동작하기 위한 최소한의 규약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MS C++, C#, VB.NET을 배울 때 공통적으로 가르치는 부분입니다. 당연히 C++, VB, C#의 순수한 언어적인 측면을 배울 때는 눈에 띄지 않는 부분입니다. 스스로 직접 윈도우 환경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하나 둘 씩 등장하는 개념이니 천천히 배우면 됩니다.

CTS는 보시면 아시겠지만 언어에 상관 없는, 즉, 닷넷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형식, 런타임 구조 등등의 환경이 정의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C++로 개발을 한다 하더라도 32비트 운영체제와 64비트 운영체제에 따라 데이터 형식이 달라지는 점이나, 플랫폼에 따라 데이터 형식에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점 등등 여러가지 차이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실행 환경에 대한 고려는 중요한 겁니다. 그런 환경에 대한 정의를 하고 있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한 내용을 가지고 있는 것이죠. (프로그래밍을 시작하신 분들이나 일반 응용 프로그램 개발 시에는 데이터 형식에 대해 깊게 따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쉽게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것보다 따지면서 개발해야 하는 환경이 특수한 환경인데… 할 줄 아는 사람 많은가? ㅡㅅㅡ))

그리고 환경이 언어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하므로 모든 언어에 공통적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여러 언어를 지원하면서도 동일한 형식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죠. ㅇㅅㅇ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