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적인 인프라들을 결합하여 동일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가상화 작업을 통해 운영화, IT-as-a-Service(Iaas)로 진화해 가는 과정에 있어서 어떤 과정으로 진화하는지, 그리고 가상화가 어떤 식으로 쓰이는지 알아보겠다.
가상화의 주체는 주요 IT조직, 부서이며, 가상화는 높은 운영비용 예산 하에서 운용된다. 각 비즈니스 부문은 가상화 인프라상에서 움직이게 된다. 그러나,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비즈니스 부분, 부서, 조직에서 사용하는 하드웨어와 연관성이 많다. 그 이유는 어플리케이션은 하드웨어(컴퓨터 하드웨어 뿐만 아닌 여러 복잡한 하드웨어 전체를 예기합니다.) 상에서 존재하고, 예산 편성이 어떻게 수렵되고 집행되는지는 일반적으로 그 비즈니스 부분, 부버, 조직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환경은 비즈니스 부분의 필요에 따라 확장되게 되는데, 모든 일련의 IT 환경은 그 특정 부분, 부서, 조직의 필요품을 충족하면서 그에 맞는 신뢰받는 IT 환경으로 인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가상화를 통한 클라우드로의 진화를 이루기 위해서 비즈니스와 IT 조직은 점진적인 IT 통합 및 일반화된 리소스 풀(Resource Pool)을 통하여 추가적인 비용 절감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한다. 운영화에서는 IT 관리부서나 비즈니스 관리는 “모든 것은 가상화한다”라는 전략을 수렴해 놓은 상태이다. 운영화에서의 선택적인 접근 방식은 시스템 장비들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IT 환경은 인건비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윈하여 고도로 자동화되어야 한다. 이 단게에서 IT 환경은 이미 내부적으로 정의된 서비스 레벨 목표에 부합하기 위하여 On-Demand화 되고, 비즈니스는 IT 자원의 고가용성 및 높아진 용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서비스로서의 IT 단계에서 IT는 비즈니스에게 있어서 유틸리티이다. 각 비즈니스 부문은 이제 원하는 자원 및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셀프서비스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IT 자원이용 및 IT 비용에 대한 리포트를 구체적으로 작성하고 받아볼 수 있게 된다. 이것은 경쟁력 있는 IT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진정한 비즈니스 민첩성을 얻는 효과를 누리게 된다. IT 서비스는 마치 메뉴를 고르듯 서비스 카탈로그에서 찾아볼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만큼의 서비스를 필요에 따라 늘리거나 줄이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