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IT 정보기술의 당면 문제

오늘날에 여러 곳에서 클라우드가 크게 화제가 되고 있는데, 무엇이 클라우드로 변화를 이끌고 있는 것일까..? 오늘날의 IT 시장은 도데체 무슨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일까?

정보 기술이 메인 프레임 -> 미니 컴퓨터 -> PC/마이크로프로세서 -> 네트워크/분산 컴퓨팅 으로 진화하여 클라우드까지 닿는 데에는 정보 기술의 진보와 함께 어떠한 당면 문제가 있기에 바뀌게 된 것이다.

각 IT 조직들에 있어 클라우드로 변화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소는 조직마다 처한 비즈니스 환경, 요구, 가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공통적으로 동작하는 부분이 있다. 바로 비용(Cost), 가용성(Availability), 신속한 시장 출시성(Time-to-Market) 등이 있다.

하나의 기업, 회사, 조직에서 최고 결정권자들이 기업 경쟁력 강화 및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이용 가능한 정보 및 데이터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유연하게, 최다핸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을 필요로 한다. 이에 IT 담당자들은 자신들이 관리하고 유지하는 IT 기술에 최대한 민첩하고, 최고 결정권자들의 기대에 부흥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을 것이다.

이에 비즈니스 각 부분, 즉 비즈니스 프로세스 담당자들은 외부의 소싱을 통하여 업무를 진행하는 것이 회사 차원에서 일정한 금지가 있는 환경에서도 자신들의 목적에 맞게 외부 IT 아웃소싱을 구매할지, 아니면 사내 IT만을 이용할지, 사용을 하지 않을 지에 대해 충분한 결정을 할 것이라 믿고 있는 듯 한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IT조직에서는 자신들이 내부적으로 제공하는 IT 서비스가 외부의 IT 아웃소싱 서비스보다 더 훌륭한 서비스로 인정받기를 원하고, 그에 부응하도록 끊임없는 노력을 하고 있다. 즉, 기본적으로 제공되어 수행할 임무를 넘어, 외부의 다른 서비스보다도 더 좋은 서비스로 인식되어 사용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이건 경영자 마인드이다.)

IT 조직들은 이를 검토할 때, 새로운 컴퓨팅 모델을 통하여 IT 성과를 극대화시키길 원하지만, 동시에 기존 IT 환경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키려고 노력해야 하는 책임은 벗어날 수 없다. 즉, IT 조직들은 기존 IT 환경의 효율성과 새로운 IT 모델을 통한 IT 효과 극대화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기를 희망하지만, 서로 상이한 도구, 인프라, 예산 집행 등을 병행하여 생성하는 것을 희망하지 않는다. 이 문제가 얼마나 골치아픈 문제인지는 실제로 겪어보지 않은 사람들은 모르는 일이다.

그렇다면 지금에 와서 여러 회사들이 공통적으로 IT 관련 직면 문제로서 고민할 사항들을 예로 보면 다음과 같다.

  • 글로벌화(Globalization): 비즈니스 서비스는 24시간, 365일 멈추지 않고 진행해야 한다. 그리고 이 비즈니스 서비스가 불과 몇년전까지는 국내 서비스만으로 만족해야 했으나 이젠 스마트폰 서비스, 네트워크의 강화 등을 이용하면 전 세계 어디서나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기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 노화되는 데이터센터(Aging Data Centers): 오래된 IT의 마이그레이션, 업그레이드를 통한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닷컴 붐을 통하여 구축된 클라이언트/서버, 분산처리 시스템은 현재 2000년 초반에 주로 구축한 서비스 시스템들이고 이 시스템들이 때를 맞춰서 노후화가 진행되어가고 있다.
  • 저장 데이터 증가(Storage Growth): 스토리지 소비 및 사용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접근성이 쉬워질수록 그로 인해 생성되는 정보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 어플리케이션 증가(Application Explosion): 어플리케이션 수가 증가하고, 그에 따른 사용량이 증가하지만 이 속도를 따라갈 정도의 신속한 인프라의 대응 및 확장이 부족한 상태이다.
  • IT 유지비용 증가(Cost of Ownership): 각종 성장비용(ex: 장비, 전력, 냉각, 라이센스, 서비스 서포트 등)에 따른 영향으로 인해 확장이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인프라 증가를 위한 코스트는 소규모라도 몇백에서부터 시작한다.
  • 정보 보안(Security): IT 거버넌스 및 리스크에 대하여 우리 회사, 조직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파악해야 한다. 인프라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시스템을 계속 이어붙이게 되면 여기저기에 컴퓨터공학적 보안의 구멍이 생길 수 있게 된다. 이 부분에 대한 코스트도 구축 당시부터 시작하여 유지, 보수 단계까지 해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 IT 복잡성(Complexity): 곳곳에 흩어져있는 시스템들과의 물리적인 엑세스가 부족하며, 작업 부하 분산을 통하여 사용자들의 요구를 맞출 수 있다고 하지만 그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고 있다.
  • 병합, 인수(M&A): 회사간의 M&A를 통하여 IT 인프라의 통합 움직임이 보여지고 있다. 서로가 부족한 서비스를 보충하기 위하여 경영진의 입장에서 M&A를 추진하여 생긴 문제와 그를 해결하기 위한 코스트가 발생한다. 이 코스트는 IT 조직 내에서도 측정 불가능한 코스트에 속하기 때문에 쉽게 볼 문제가 아니다. (실제로 외부 회사의 시스템이 내부 시스템과 많이 상이해서 서로간의 연계 방식을 찾지 못하는 최악의 경우에는 데이터 센터를 합병한 회사가 가진 갯수만큼 갑작스럽게 증가하게 되는 경우가 되므로 이 코스트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 된다.)

적을 게 없어 보여도 정말로 많은 문제들이 있다. ㅇㅅㅇ;;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